본문 바로가기

동일본 대지진 사망자4

동일본 대지진 규모와 진도 피해상황 ■발생내용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혹은 동일본 대지진 은 2011년 3월 11일에 일본 도호쿠(동북부)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거대지진이다. M 9.1이라는 일본 국내 지진 관측 역사상 최고 규모를 기록했으며 이후에도 약 한 달간의 대규모 여진, 연 단위의 소규모 여진을 부른 대지진이다. 이 지진은 또한 초대형 쓰나미를 불러와 도호쿠 연안 지역에서의 추가적인 대규모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하였으며, 또한 세계사상 가장 심각한 원자력 사고 중 하나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불러왔다. 이 대지진의 여파로 일본 사회는 21세기를 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1945년 이후 가장 큰 사회적 충격을 받았고 12년이 지난 현재도 그 수습이 이어지고 있다. 이 지진은 인류 역사상 자연재해에 따른 .. 2023. 2. 18.
첩첩산중 튀르키예·시리아 강진 사망자 3만7000명 넘어 내전·지진 겹친 시리아에 콜레라 확산까지 우려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강타한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3만 7000명을 넘어섰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13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사망자가 3만 1643명으로 추가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시리아 북서부 반군 점령 지역에서는 최소 4300명이 숨지고 7600명이 다쳤다고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밝혔다. 여기에 시리아 정부가 보고한 사망자 수를 합치면 시리아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5714명 이상이다. 로이터통신과 dpa 통신 등이 집계한 두 국가의 사망자 수는 3만 7000명 이상으로 2003년이란 대지진(사망자 3만 1000명)의 피해 규모를 넘어섰다. 이번 지진은 21세기 들어 6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자연재해로 기록됐다. 5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재난은 2005년 파키스탄 .. 2023. 2. 14.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사망자 3만3000명 넘어 두 배 이상 늘수도 최악의 상황 기적을 바라는 수 밖에 •시리아 실제 사망자 훨씬 많을 듯 •여진 계속되고 있어 불안감 커져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덮친 강진으로 양국의 사망자 수가 3만 3000명을 넘어섰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12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사망자 수가 2만 9605명으로 추가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튀르키예와 국경을 맞댄 시리아에서는 최소 3574명이 숨지고, 5276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국가를 합친 총사망자는 3만 3179명으로 2003년이란 대지진(사망자 3만 1000명)의 피해 규모를 훌쩍 뛰어넘었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튀르키예·시리아 강진이 21세기 들어 역대 6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자연재해로 기록됐다고 전했다. 시리아의 경우에는 내전으로 정확한 통계 작성이 어려워 실제 사망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 2023. 2. 13.
튀르키예(터키)․시리아 지진 사망자2만 5000명 넘어서100년 만의 최악의 참사 한국 구호대 또 기적 튀르키예 현장서 생존자 3명 추가 구조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에 규모 7.8과 7.5의 두 차례 강진이 강타한 지 엿새째로 접어들면서 사망자 집계가 2만 5000명을 넘어섰다. 12일 아시아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72시간 골든타임'은 이미 지났지만, 11일(현지시간)에도 기적 같은 생환 소식이 이어지면서 현장의 구조 인력들은 한 명의 생존자라도 더 구해내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피해 지역 주민들은 현지 방송에 여전히 많은 생존자가 건물 더미에 묻혀있다고 주장하면서 더 많은 구조 인력 투입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날 진앙과 가까운 도시 카라만마라슈를 찾은 마틴 그리피스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담당 사무차장은 취재진에 "이번 지진은 100년 만의 최악의 참사"라고 말했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이날 지금까지 확인된 사망자가 2만 .. 2023. 2. 12.